메뉴 건너뛰기

Price  
explane  
  • 기제
  •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이다.

    기제의 봉사대상은 4대 봉사원칙이다.

    기제의 대상은 부모, 조부모, 증조부,고조부모 및 배우자이다.

    다만 3촌 이내의 존속 동항렬 또는 비존속 친족에 대하여는 기제를 지낼 수 있다.

    제사 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내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 진 뒤 어두워지면 아무때나 적당한 시간에 지낸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제한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는 차자나 차손이 주관한다.

    주자가례나 도암 이재의 사례편람에는 기일을 맞은 당사자 한 분만을 모신다고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두분을 함께 모셔왔으므로 이 관습을 무시할 수 없다.

    가정의례준칙에서도 부모가 모두 별세하였을 경우 합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 차례
  •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날에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이다.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와 추석절의 절사가 이에 해당된다.

    제수와 절차는 기제에 따르지만 무축단작이라 하여 축문이 없고 술은 한 잔만 올린다.

  • 연시제
  •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 대상은 원래 4대조까지 였으나 요즘은 2대조까지만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 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하는 경우 한종이에 나란히 쓴다.

    메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 추석절 제사
  • 음력 8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이다.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든 직계 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 사시제
  • 철을 따라 1년에 네 번 드리는 제사로서

    매 중월(2월, 5월, 8월, 11월) 상순의 정일이나 해일을 가리어 지낸다.

    보통 날짜는 전달 하순에 정한다.

    제사전 3일 도안 재계한다.

    제사 하루 전날에는 정침을 깨끗이 청소하고 신주 모실 자리를 마련한다.

    방 한 가운데 향탁을 놓고 그 위에 향로 향합 촛대를 놓는다.

    주부는 제기를 갖추어 손질하고 제찬을 정결하게 마련한다.

    밤새도록 촛불을 밝혀두고 다음날(제삿날) 날이 밝으면 아침 일찍 일어나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제복을

    입고 사당으로 나아가 분향한 뒤 신주를 정침으로 모신다.

    제사 지내는 순서는 참신, 강신, 진찬이 끝나면 초헌, 아헌, 종헌에 이어 유식합문계문을 한 뒤 수조를 한다.

    사신하고 나서 납주하면 상을 물리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사례편람'에는 시제야 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즘에는 이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는다.

  • 한식/성묘
  • 한식은 청명 다음 날로 동짓달로 부터 계산하여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 날은 예로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이 관습이었다.

    한식이란 말은 옛날 중국에서 비와 바람이 심해서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 이제
  • 계추에 지내던 제사로서 계추란 음력 9월을 가리킨다.

    전달 하순에 제사 지낸 날짜를 택일한 뒤

    제삿날을 맞으면 사흘 전 재계하고 하루 전 신위 모실 자리를 마련하로 제찬을 준비한다.

    제삿날 동이 틀 무렵 일찍 일어나 제상을 진설한 뒤 제주 이하가 옷을 갈아입고

    사당에 나아가 신주를 정침으로 모셔 내와 제사를 지낸다.

    제사는 참신, 강신, 진찬, 초헌, 아헌, 종헌, 유식, 합문, 계문, 수조, 사신, 납주, 철상, 준의의 순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