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Price  
explane  
  • 민간신앙에 뿌리내리고 발전해 온 고사의 유래는 아직까지 더 밝혀져야 하겠지만,

    고래의 "상달고사"라는 의례가 현재의 고사제/기원제의 원형으로 추측된다.

    상달고사란 음력 10월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가신(家神)들에게 올리는 의례를 말한다.

    세시풍속 상에서는 고사라는 말 이외에도 안택(安宅)이라는 말이 고사와 비슷한 의미로 쓰였다.

    그러나 고사는 주로 상달고사를 말하며 추수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강하고,

    안택은 주로 정월에 행해지며 연초의 액막이 및 행운 기원의 의미가 강하다는 점에서 양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 고사 혹은 안택이라는 이름은 중부를 포함한 중부 이북지방에 분포되어 있고,

    영호남 지방에서는 도신(禱神) 또는 도신제라 부른다.

    최남선은《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 '고시레·고사·굿'을 같은 어원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그 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의례를 '고시레'라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정도의 의례를 말하며,

    장구를 울리고 무악(巫樂)을 갖추어 춤을 추는 등 규모가 가장 큰 의례를 '굿'이라고 하였다.

  • 상달고사의 유래에 대해서는 상세히 전하는 바가 없으며 다만 옛 기록을 통하여 추측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최남선은《조선상식문답(朝鮮常識問答)》에서 "상달은 10월을 말하며,

    이 시기는 일 년 내 농사가 마무리되고 신곡신과(新穀新果)를 수확하여 하늘과 조상께 감사의 예를 올리는 기간이다.

    따라서 10월은 풍성한 수확과 더불어 신과 인간이 함께 즐기게 되는 달로서

    열두달 가운데 으뜸 가는 달로 생각하여 상달이라 하였다."라고 풀이하고 있다.

  • 이러한 상달에는 예로부터 무수한 종교적 행사가 전승되어 왔다.

    고대에는 고구려의 동맹(東 盟), 예의 무천(舞天), 부여의 영고(迎鼓) 등 추수감사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천의식이 있었다.

    고려 때에는 팔관회(八關會)가 그 맥을 이은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에는 민가에서 고사 혹은 안택으로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볼 때 상달고사의 유래는 고대 국가행사인 제천의식에서 민간신앙이 합쳐저서

    가정의례로 변모하여 전승되었으리라 짐작된다.